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|||
5 | 6 | 7 | 8 | 9 | 10 | 11 |
12 | 13 | 14 | 15 | 16 | 17 | 18 |
19 | 20 | 21 | 22 | 23 | 24 | 25 |
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Tags
- pagehide
- git
- 오라클
- reflog
- javascript
- 욕실인테리어 비용
- 자바
- 자바기초
- PS120
- 해커랭크
- Java
- git 머지방법
- 셀인 후기
- JPA
- 리액트
- 99115-2
- 커밋하지 않은 파일 원복
- git reset 원복
- 자바스크립트
- 두꺼비집 교체
- AWS
- 개나리 프리모
- git reflog
- 컴포넌트
- 셀인후기
- HashMap
- 인테리어 계획짜기
- pageshow
- 돌출분전함
- 셀프인테리어 후기
Archives
- Today
- Total
목록IT/Spring (1)
나의 기록

- 의존성 주입(Dependency Injection) 이란 하나의 객체가 다른 객체에 의존성을 제공하는 기술을 말한다. '의존성' 은 A가 작업을 하는데 B가 필요한 경우, A는 B에 의존한다고 말하며 이를 의존성을 갖는다고 할 수 있다. - 의존성 주입 방법 Spring Framework 에서 제공하는 의존성 주입 방법에는 세가지가 있다. 1. 생성자 2. 필드 3. Setter 1. 생성자를 이용하는 방법. @Controller class OwnerController { private OwnerRepository owners; public OwnerControlelr(OwnerRepository owners) { this.owners = owners; } . . . } 2. 필드 이용 방법 @Con..
IT/Spring
2022. 2. 19. 21:20